본문 바로가기
Health & Life

일본 감염병 독성쇼크증후군 STSS 전파력, 원인, 증상, 치료

by 미니 minnie 2024. 3. 21.

 현재 엔화가 약세하면서 국내 일본 방문이 많은데요. 현재 일본에서 치사율이 30% 이르는 감염병이 확산하고 있어 모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현재 확산하고 있는 감염병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STSS)'의 원인, 증상, 치료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일본-감염병확산
일본-감염병확산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STSS)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이란 화농성 연쇄상구균이라는 박테리아 의해 감염되는 질병입니다. 주로 어린이에게 인후통을 유발하고 감기와 증상이 비슷하지만 별다른 증상이 없어 감염이 되었어도 감염 사실을 알지 못합니다. 간혹 전염성이 강한 박테리아는 30세 이상 성인에게 합병증, 급식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심할 경우에는 사망까지 이르며 치사율이 30% 이르고 있습니다.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은 신속 진행성 중증 증상으로 열 발진 위험한 저혈압 여러 기관의 부전 등이 포함된 질병입니다. 그램양성 황색포도구균 또는 그룹 A 연소생 구균이 생성하는 독소로 인해 발생합니다.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 STSS 감염 경로 및 치료

 

독성쇼크증후군은 코로나19처럼 비말과 신체접촉 통해 감염됩니다. 또한 피부의 상처를 통해서도 감염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항생제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중증환자의 경우엔 집중 치료와 약물치료가 추가로 필요하게 됩니다.

 

STSS 유발 전 단계는 '연쇄상구군'에 걸리는 것 입니다. 초기 치료를 하지 않으면 STSS가 유발하고 치사율이 높은 중증화 단계까지 가게 됩니다. 즉 처음부터 STSS가 감염되거나 발병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STSS는 중증이므로 빨리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대다수 사람은 STSS까지 발병하지 않는다고 킨타로 교수는 말하고 있습니다. STSS는 중증 질환이므로 철저한 치료가 필요하지만 단순 연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은 효과적이 치료법이 있다고 말합니다.

 

 

 

 

 

 

 

 

 

일본-감염병
일본-감염병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 STSS 증상

 

발열과 오한, 근육통, 메스꺼움과 구토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이후 저혈압이 발생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24~48시간이 걸립니다. 여기서 악화하면 정상 심박수보다 빠른 빈백, 빠른 호흡을 일컫는 빈호흡, 장기가 작동하지 않는 장기부전으로 악화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STSS)를 두고 제2의 코로나가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외 전문가들은 "STSS를 유발하는 원인균의 문제이지 중증화 단계인 STSS만을 두고 무리한 공포감을 느낄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연쇄상구균독성쇼크증후군 전파력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STSS는 전염성이 약하다고 합니다. 관련 보고서에서 STSS 환자가 다른 사람에게 감염을 전파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나와있습니다. 다만 STSS를 유발하는 연쇄상구균의 박테리아 전파는 매우 쉬우니 주의가 필요합니다.